건강검진 받고 나면 A, B, C, D 등급과 수치들이 한가득… “이게 뭔지 모르겠는데 병원 가야 하나요?”라는 질문, 많으시죠?
검진결과표는 건강 상태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하지만 수치를 해석하는 법을 모르면 불안감만 커지기 쉽죠.이번 포스팅에서는 자주 나오는 건강검진 항목들을 항목별로 쉽게 풀이하고, 어떤 수치가 위험한지 알려드립니다.
1. 건강검진 결과표 보는 법
건강검진 결과표에는 다양한 항목과 수치들이 나열되어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정상 범위와 비교해 이상 여부를 판단합니다. 보통 결과는 A~D 등급 또는 숫자로 표시되며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습니다.
- ✅ A등급: 정상 범위 (이상 없음)
- 🟡 B등급: 경미한 이상 (추적 관찰 필요)
- 🟠 C등급: 정밀검사 권고
- 🔴 D등급: 질병 가능성 높음 → 즉시 진료 필요
결과표의 핵심은 "정상수치 범위를 벗어났는가"를 읽어내는 것이며, 그 수치가 의미하는 바를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2. 혈액검사 수치 해석
혈액검사는 우리 몸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가장 먼저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다음은 자주 나오는 주요 항목과 정상 수치입니다.
검사항목 | 정상 수치 | 의미 |
---|---|---|
백혈구 (WBC) | 4,000~10,000 /㎕ | 면역력 상태 확인 (감염, 염증 여부) |
적혈구 (RBC) | 남성: 4.5~5.9 / 여성: 4.0~5.2 | 산소 운반능력, 빈혈 여부 |
혈색소 (Hemoglobin) | 남성: 13~17 / 여성: 12~16 g/dL | 빈혈 진단에 사용 |
혈소판 (Platelet) | 150,000~450,000 /㎕ | 출혈·지혈 기능 확인 |
※ 수치가 높거나 낮다고 해서 무조건 질병은 아니며, 경과 관찰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3. 간·지질·혈당 수치의 의미
간 기능과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는 대사 건강과 만성질환 여부를 판단하는 핵심 항목입니다. 특히 술을 자주 마시거나 식습관이 불규칙한 경우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합니다.
검사항목 | 정상 수치 | 해석 |
---|---|---|
AST (GOT) | 0~40 U/L | 간·심장·근육 손상 지표 |
ALT (GPT) | 0~40 U/L | 간세포 손상 여부 확인 |
총 콜레스테롤 | <200 mg/dL | 지질 대사 상태 |
LDL (나쁜 콜레스테롤) | <130 mg/dL | 높으면 심혈관 위험 증가 |
HDL (좋은 콜레스테롤) | >40 mg/dL | 높을수록 심장 보호 효과 |
공복 혈당 | 70~99 mg/dL | 당뇨병 여부 확인 (126 이상은 의심) |
※ 수치 하나하나에 민감해지기보다, 이전 검사와의 변화 추이를 함께 비교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4. 재검 대상인지 확인하는 기준
검진 결과를 받았을 때, 수치가 정상이 아니더라도 무조건 재검이 필요한 건 아닙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반드시 추가 검사 또는 병원 진료가 권장됩니다.
- 🔴 D등급(질환 의심)이 표시된 항목
- 🧪 혈당 ≥ 126mg/dL 또는 당화혈색소 ≥ 6.5%
- 🧬 ALT/AST가 80 이상으로 간수치 급상승한 경우
- 🩸 혈뇨·단백뇨가 반복되거나 2회 이상 검출
- 📉 빈혈 수치(Hb) 10g/dL 이하
👉 특히 2년 전보다 수치가 많이 달라졌다면 변화 폭 자체가 위험 신호일 수 있으므로 전문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 재검 안내를 받았다면 가급적 1개월 이내 정밀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5. 자주 묻는 질문 (FAQ)
아닙니다. 기준 수치는 평균값일 뿐이며, 개인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다만 수치가 계속 상승하거나 다른 증상이 동반된다면 병원 진료가 필요합니다.
결과에 따라 ‘판독 불가’, ‘영상 불량’, ‘잠재적 이상 가능성’ 등이 있을 경우 예방적 차원에서 재검을 권고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닙니다. 건강검진은 주요 항목에 대한 선별 검사입니다. 이상이 없어도 증상이 있다면 추가적인 진료가 필요합니다.
건강검진 결과표는 단순한 종이가 아닙니다. 그 안에는 현재 건강 상태, 미래의 위험 신호가 담겨 있습니다. 단순히 등급만 보지 말고, 수치를 스스로 해석하고 관리하는 습관을 들여보세요.
수치에 대한 이해가 건강의 시작입니다. 이제는 결과표를 두려워하지 말고, 제대로 활용하세요!
'질병 예방 및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암 초기증상 무시하지 마세요! 감기 같지만 다른 5가지 신호 (0) | 2025.04.19 |
---|---|
한국인 사망원인 1위, 폐암 초기증상과 예방법 (0) | 2025.04.18 |
한국인의 암 통계, 연령별로 가장 흔한 암은 무엇일까? (0) | 2025.04.18 |
혓바늘 왜 자주 날까? 원인부터 치료, 좋은 음식까지 총정리 (1) | 2025.04.18 |
심근경색과 협심증, 헷갈리는 두 병의 차이점 정리 (0) | 2025.04.17 |